컴퓨터를 강제로 껐다 켠 이후 minikube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는 kubelet과 api-server가 동작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minikube의 상태를 진단한 후 api-server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api-server 상태를 업데이트했지만 kubelet과 api-server가 동작하지 않는다.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minikube에 SSH로 접속하여 kubelet 프로세스를 확인해 본 결과 실행 중이 아님을 알 수가 있었다. systemctl kubelet start를 실행시킴으로써 kubectl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고 api-server와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아직 한 가지 문제가 남아있었다. pod가 실행되었으나 deployment가 pod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정확한 원인을 알기 어려웠다. 예상되는 원인으로는 pod나 deployment가 가지고 있는 api-server가 변경되어서 발생한 문제로 예상된다. 이 문제에 대해서 더 구체적으로 파고 싶었으나 재시작한 결과 바로 문제가 해결되었다.
minikube status
minikube update-context
minkube ssh
cd /bin
sudo systemctl status kubelet
sudo systemctl start kubelt
kubectl get pods -n kube-system | grep coredns
> Warning FailedScheduling 13m (x2 over 18m) default-scheduler 0/1 nodes are available: 1 node(s) had untolerated taint {node.kubernetes.io/unreachable: }. preemption: 0/1 nodes are available: 1 Preemption is not helpful for scheduling.
kubecte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minikube NotReady control-plane 13d v1.30.0
minikube stop
minikube start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에 otel 자동 계측 적용하기 (0) | 2025.02.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