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구성하기

명령어

  • df(disk free) 리눅스 시스템 전체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
  • du(disk use) 특정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디스크 사용량 확인
  • mkfs.파일시스템 : 입력한 장치에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작성한다.
  • fdisk, mount, umount, mdadm, lsblk, blkid

레이드를 구성하기에 앞서 가상머신에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해준다. 추가 후 디스크가 잘 추가되었는지 확인한다. /dev/sdb, /dev/sdc 와 /dev/sdd추가가 되었다.

fdisk -l

1. 디스크 포맷 및 마운트

1.mkfs.xfs /dev/sdb /dev/sdc
2. mount /dev/sdb /home/sdbTest(자신이 마운트하고싶은 디렉토리로 지정하면 된다)
3. mount /dev/sdc /home/sdcTest
4. df -Th

해당 디스크들의 파일 시스템과 마운트가 정상적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2. 디스크 파티션 나누어주기

1.fdisk /dev/sdb


2.p (파티션 상태 확인)
3.n->p,1,기본값,기본값 파티션 추가(원하는 용량을 할당한다.)


4.t-> fd (리눅스RAID)


5.w (저장후 종료)


6.disk -l 파티션 확인

새로운 /dev/sdb1이 생선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3. Raid 생성

1.yum -y install mdadm
2. mdadm -C /dev/md1 -l 5 -n 3 /dev/sdd1 /dev/sdc1 /dev/sdb1

  • C는 생성하다 -l는 레이드 단계 -n은 몇개의 파티션을 묶어줄것인가를 의미한다.

3./dev/md1으로 생성한 Raid가 시작되었다.


4.mdadm --detail /dev/md1 생성한 Raid의 정보를 확인할수가 있다.

이후에 앞선 mkfs 명령어를 통한 파일시스템 포맷팅과 종료후에도 Raid에 대한 정보가 남아 있을수 있도록 vi /etc/fstab에 Raid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준다.

Mdadm 옵션

  • -detatil or -D
  • -create or -C
  • -level or -l
  • -raid-deveices or -n

Ref:
https://docs.redhat.com/ko/documentation/red_hat_enterprise_linux/6/html/installation_guide/create_software_raid-x86#Create_Software_RAID-x86
https://ko.linux-console.net/?p=22424
https://www.onlab.kr/2014/10/27/mdadm-linux-software-raid-%EA%B5%AC%EC%84%B1%ED%95%98%EA%B8%B0/
https://jeongyd.tistory.com/7
https://www.tecmint.com/create-raid1-in-linux/

리눅스 명령어
https://withcoding.com/104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BS 볼륨 확장하기  (0) 2024.06.24
AWS 스왑 메모리 구성하기  (0) 2024.06.24
Crontab을 이용한 SSL 인증서 자동 갱신  (0) 2024.06.19
HardLink and SoftLink  (0) 2024.06.09
AWS EC2 Nginx 설치  (0) 2024.06.09